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7 |
8 | 9 | 10 | 11 | 12 | 13 | 14 |
15 | 16 | 17 | 18 | 19 | 20 | 21 |
22 | 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29 | 30 | 31 |
- 와인정리
- 귀를자른자화상
- 레드와인로제와인
- 일상블로그
- 드가와발레
- 브랜딩사례
- 와인특징정리
- 드가작품들
- 힐링
- 와인
- 브랜딩공부
- 와인분류
- 와인특성정리
- 브랜드사례
- 화이트와인로제와인
- 화이트와인품종
- 와인차이점
- 단지몇번찔렸을뿐
- 힐링블로그
- 드가발레수업
- 일상
- 브랜드공부
- 고흐귀자른이유
- 레드와인화이트와인
- 화이트와인종류
- 두명의프리다
- 화이트와인정리
- 무신사브랜드
- 와인특성
- 데일리
- Today
- Total
나의 관심사
에드바르 뭉크의 절규와 작품들 본문
에드바르 뭉크
연도 : 1863년~1944년
국적 : 노르우에이
사조 : 표현주의
대표작품 : 절규
- 뭉크의 그림은 자신의 성향을 반영한 전반적으로 우울, 신경증, 불안 등의 어두운 성향의 작품이 많다.
- 생과 죽음의 문제 그리고 인간 존재의 근원의 고독, 질투, 불안 등을 표현
- 노르웨이 출신의 표현주의 화가, 노르웨이에선 그의 초상이 지폐에 들어가 있다.
- 나면서부터 몸이 약해성 작품에 영향
-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항상 있었으며 죽음을 피하기 위해서 노력함
- 퇴폐예술이라는 이유로 그림이 몰수 당하기도 함
- 자신의 삶을 둘러싼 죽음, 가혹한 삶으로부터 느끼는 감정을 그림 위에 표현
-어렸을때 어머니는 결핵으로 사별, 누나까지 아파서 죽은 것을 본 뒤 죽음과 병에 대한 두려움, 불안함 항상 갖고 살았다.
-연속된 사랑의 실패로 사랑에 대한 불신
"나는 자신의 심장을 열고자하는 열망에서 태어나지 않은 예술은 믿지 않는다. 모든 미술과 문학, 음악은 심장의 피로 만들어져야한다. 예술은 한 인간의 심혈이다."
뭉크의 예술심장론에서
<절규>
뭉크의 표현주의작품으로 핏빛의 하늘을 배경으로 괴로하는 인물을 묘사.
배경의 풍경은 노르웨이 오슬로의 이케베르크 언덕에서 보이는 오슬로피오르이다.
<마라의 죽음>
"나에게는 사랑도 죽음이었다"
뭉크의 세번째 연인이었던 툴라, 뭉크에게 툴라가 결혼을 요구하기 시작하였고 그를 멀리하던 뭉크에게 툴라는 총을 이용한 자살 협박을 시도. 실랑이 와중에 총이 발사되면서 뭉크의 손가락을 관통하는 사건이 발생하낟.
이 일을 겪고 뭉크는 사랑이 자신의 죽음까지도 가져갈 수 있다는 또 다른 두려움을 갖게 된다.
이 때의 우울감, 불안함을 담은 작품이 <마라의 죽음>
<병든 아이>
"난 죽음의 기억을 그린다"
엄마와 같던 누나가 병상에 누워 죽어가는 모습을 회상하며 그린 그림
<흡혈귀>
바람둥이 여성을 만나다 받은 상처로 여성에 대한 피해망상을 갖기 시작한다. 그리고 여성은 남서으이 영혼에 치명적인 상처를 입히는 위협적인 존재라고 생각하며 그린 작품
흡혈귀가 여자로 표현이 되어있다.
<마돈나>
뭉크가 2번째 사랑으로 받은 상처를 표현한 작품. 사랑하는 여인과 친구를 동시에 잃었다. 관능미를 가진 사랑을 불러일으키는 존재이면서 정신적으로 치명상을 입히는 파멸의 존재로써 표현한 듯하다.
<시계와 침대 사이에 있는 자화상>
그의 죽음에 대한 두려움때문이었는지 그는 장수하였다고 한다ㅏ. 그리고 살아생전 작품의 예술성을 인정받아 돈도 많이 벌었다.
어느날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면서 자신의 늙어가는 모습을 보며 결코 죽음을 피할 수 없음을 자각하며 그린 자화상.
해당 자료는 사전과 제가 본 책들에서 조금씩 추려서 정리한 내용입니다.
앞으로 여러 다양한 책을 읽으면서 본 글은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. :)
'서양미술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반고흐 귀 자른 이유 (고흐 귀를자른 자화상) (0) | 2021.01.28 |
---|---|
드가의 작품들, 드가의 발레수업을 중심으로 (0) | 2020.11.19 |
프리다칼로의 떠있는 침대, 고통으로 표현한 그녀의 작품들 (0) | 2020.11.17 |
직장인이 느낀 침대밥의 행복 (0) | 2020.03.11 |